건강처방

지방 _ 헤어지지못하는 지방

늘해랑S2 2022. 12. 8. 11:30

 

둘째를 낳고 절대 없어지지 않는 뱃살...
지긋지긋한 지방 덩어리 ㅠㅠ 
그만 헤어지고 싶네요ㅎㅎㅎ


지방

지방(脂肪, 영어: fat)은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세 가지 주영양소 중 하나이다. 지방은 주로 탄소 원자와 수소 원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소수성이며, 유기 용매에 잘 녹고, 물에는 잘 녹지 않는다. 지방은 인지질, 콜레스테롤과 함께 지질의 종류 중 하나이다.

지방은 다양한 생물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구조적인 기능과 대사적인 기능에 모두 관여한다. 지방은 대부분의 종속영양생물(사람 포함)의 영양소에 필요한 부분이며,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에너지 저장의 가장 효율적인 형태이다.

지질(lipid), 기름(oil), 지방이라는 용어는 종종 혼동되기도 한다. 지질은 가장 포괄적인 용어로 트라이글리세라이드는 지질에 포함된다. 기름은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액체인 짧은 또는 불포화 지방산 사슬을 가지고 있는 지질을 지칭하는 반면, 지방(엄밀한 의미에서)은 실온에서 고체인 지질을 지칭한다. 그러나 식품 과학에서 지방(넓은 의미에서)은 지질의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으로 나뉘는데, 버터와 같은 동물성 지방은 포화 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고, 견과류, 기름과 같은 식물성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다.

음식물로 섭취되는 지질의 대부분은 중성 지방으로, 음식물에 함유된 지질의 약 95%를 차지한다.

생물에서의 지방

지방은 중요한 식이 영양소인 필수 지방산의 공급원이다. 지방은 또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는 지방과 함께 소화 흡수 및 운반될 수 있다. 지방은 건강한 피부와 털을 유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신체 기관을 보호하며, 체온을 유지하고, 건강한 세포 기능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방은 또한 수많은 질병에 대한 유용한 완충재 역할을 한다. 화학 물질이든 생물 물질이든 특정 물질이 혈류에서 안전하지 않은 수준에 도달하면, 신체는 새로운 지방 조직에 물질을 저장함으로써 문제가 되는 물질을 효과적으로 희석(또는 적어도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배설, 배뇨, 우발적이거나 의도적인 사혈, 피지 배설 및 털 생장과 같은 방법으로 문제가 되는 물질이 대사되거나 신체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중요한 장기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방의 종류

1. 불포화 지방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좋게 하고, 염증을 완화하며, 심장박동을 안정시키고, 다른 많은 건강에 이로운 역할을 한다.
주로 식물성 기름, 견과류, 씨앗류에 들어 있다. 
 > 단일불포화성 지방
   올리브유, 땅콩유, 카놀라유
   아보카도
   아몬드, 헤이즐넛, 피칸 등 견과류
   호박씨, 참깨 등 씨앗류
 > 다불포화성 지방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아마 씨유, 콩기름
   호두
   아마씨
  생선
  카놀라유
  오메가-3

2022.11.24 - [건강처방] - 오메가3

 

오메가3

늘 그렇듯 하원 후 찾아가는 곳은 방앗간, 아니 놀이터 ㅎㅎ 놀이터에서 만난 엄마들의 오늘의 주제는 아이들의 영양제!! 종합비타민에 키 크는 영양제, 아연, 유산균 등등... 그런데 아이들도 오

always-haerang.com

포화지방

음식에 있는 지방은 서로 다른 지방이 섞여 있는 것. 심지어 닭고기와 견과류 같은 건강에 좋은 음식도 적은 양이지만 포화지방이 들어있다. 물론 이것은 소고기나 치즈, 아이스크림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의 양보다는 적다. 포화지방은 주로 동물성 음식에 들어있다.

- 피자와 치즈
- 일반 우유 및 저지방 우유, 버터, 유제품 디저트
- 고기(소시지, 베이컨, 햄버거, 소고기)
- 멕시칸 패스트푸드
- 쿠키 다른 곡물 디저트

트랜스 지방

수소에 액체 식물성 기름을 넣고 가열하는 수소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트랜스지방은 아래의 이유로 콜레스테롤 수치에 나쁜 영향을 준다.
 - 트랜스 지방은 나쁜 LDL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좋은 HDL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 염증을 유발하고 이에 따라 심장질환, 뇌졸중, 다른 만성질환, 당뇨와 관련이 있다.
 - 인슐린 저항을 일으킨다.
 - 적은 양이라도 건강에 해롭다. 만약 트랜스 지방에서 얻은 칼로리를 하루에 2% 늘리면, 관동맥 성심 장병 발병 위험은 23% 증가한다.

지방산과 건강

지방산의 섭취는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에 따르면 포화 지방을 시스 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해서 섭취하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코크란 라이브러리의 무작위 통제 시험에 대한 2015년 리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있는 모든 사람과 위험이 낮은 군의 사람들에 대한 생활 습관에 관해 포화 지방의 섭취를 지속해서 줄이고, 불포화 지방으로 부분적인 대체를 할 것을 권고한다".

다수의 연구에서 트랜스 지방의 섭취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버드 T.H. 챈 보건대학원은 트랜스 지방과 포화 지방을 시스 단일불포화 지방과 다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하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조언한다. 무작위 통제 시험의 2014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심혈관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오늘날 많은 사람이 비만, 동맥 경화, 심장 질환 및 뇌혈관 질환, 고혈압의 원인이라는 이유로 중성 지방(또는 지방)의 섭취를 피하고 있다. 하지만 중성 지방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에 중성 지방을 무조건 섭취하지 않는 것은 좋지 않다.

지방산 중 사람의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는 지방산을 필수 지방산이라고 하는데, 필수 지방산은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므로 우리 식생활에서 결핍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필수 지방산이 결핍되면 발육 부진, 탈모, 신장 장애 등이 나타난다. 필수 지방산 중 일반인들이 많이 알고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주된 공급원으로는 연어, 고등어, 참치와 같은 생선들이 있다. 오메가-3 지방산에는 도코사헥사엔산(DHA),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등이 있는데, 도코사헥사엔산은 두뇌 발달을 촉진하고 노인성 치매를 예방하며, 학습기능을 향상하게 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우리 몸에 필수 영양소이지만 너무 친해지지는 말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