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vmware와 내 PC의 폴더 공유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제 환경은 vmware 버전 16.
Rocky Linux ver 9.1입니다.
리눅스 설치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Rocky Linux Setup 9.1 ver, 록키리눅스9.1 설치방법. 따라만 하세요. VMWare 설치.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Rocky Linux Setup 방법입니다. 먼저 Rocky Linux 다운로드 방법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저는 ISO 9.1 버전을 다운받았습니다. Download Rocky | Rocky Linux Rocky Linux is an open enterprise Oper
always-haerang.com
우선 이 포스팅말고도 폴더 공유하는 다른 방법이 있을겁니다.
저 같은 경우 아직 리눅스를 잘 다루지 못하고 이제 배워가는 단계에서 많은 정보가
없기에 공유하려는 목적으로 이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물론 Centos와 아주 유사할 수 있지만 Rocky 리눅스에서의 셋팅방법이 잘 없는것 같아
Rocky를 찾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그럼 바로 시작합니다.
먼저 내 PC(로컬-윈도우11)에 vmware와 공유할 폴더를 하나 만듭니다.
(저는 윈도우 바탕화면에 만들었습니다.)
그 다음 만든 폴더의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속성에서 공유 탭을 선택한 후 중간에 고급 공유를 선택합니다.
고급공유 팝업내에서 공유이름을 입력하신 후 권한을 클릭합니다.
권한은 아래와 같이 허용을 선택하고 적용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vmware에서의 셋팅입니다.
설치된 vmware의 Setting으로 들어갑니다.
Option 탭에서 Shared Folders를 선택하고 Add 버튼을 선택합니다.
위에서 만든 폴더(윈도우에서 만든 폴더)를 Host path로 잡으세요.
아래 처럼 선택 후 Finish.
여기까지 했으면 일단 1차 세팅은 끝났습니다.
이제 vmware를 실행하신 후 Terminal을 실행합니다.
그 다음 리눅스 환경에서 폴더를 하나 생성합니다.
그 다음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해당 파일 안에 아래와 같이 입력을 해야하는데
본인 PC의 IP(로컬) 주소를 알아야 하고 윈도우 로그인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해요.
아래는 예시
//ip주소/foldername /linux에서만든folder명 cifs username=pcuser명,password=pcuser비번,uid=1000,gid=1000 0 0
여기서 pcuser명과 비번은 윈도우 계정을 뜻합니다.
그리고 ip주소/foldername은 윈도우에서 만든 폴더를 뜻해요.
/linux에서 만든 folder명은 조금 전 mkdir로 만든 폴더 경로와 폴더명을 입력하면됩니다.
입력하고 저장하고 빠져나옵니다.
:wq
다음으로 mount /폴더명 입력하시면 끝납니다.
여기서 폴더명은 리눅스에서 만든 폴더명입니다.
아래와 같이 로컬 PC 폴더에 있는 파일과 vmware Linux 폴더에 있는 파일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리눅스 폴더 공유 셋팅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궁금한 내용을 댓글부탁드립니다.
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IT & Consult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cky Linux Setup 9.1 ver, 록키리눅스9.1 설치방법. 따라만 하세요. VMWare 설치. (0) | 2023.05.12 |
---|